PUFFY (음악 그룹)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PUFFY는 오쿠다 타미오가 프로듀스한 싱글 《아시아의 순수》로 1996년 데뷔한 일본의 듀오 음악 그룹이다. 데뷔 후 밀리언 히트를 기록하고, 북미에서도 CD를 발매하며 활동 범위를 넓혔다. 2004년에는 두 사람을 모델로 한 애니메이션 《Hi Hi Puffy AmiYumi》가 미국에서 방영되었다. PUFFY는 팝 록, J-Pop 스타일의 음악을 선보이며, 여러 아티스트와 협업하여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혀왔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시부야계 음악가 - 캬리 파뮤파뮤
캬리 파뮤파뮤는 하라주쿠 패션 문화 기반의 독특한 음악과 스타일로 국내외 인기를 얻고 있는 일본 가수 겸 모델이며, "폰폰폰"과 "패션 몬스터" 등의 히트곡과 더불어 다양한 활동을 통해 '하라주쿠 팝 공주'라는 별칭을 얻으며 독자적인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. - 시부야계 음악가 - 나카타 야스타카
나카타 야스타카는 일본의 음악 프로듀서, 작곡가, 작사가, DJ이며, capsule 멤버로서 Perfume, 캬리 파뮤파뮤 등 여러 아티스트의 프로듀싱을 통해 일본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을 주고 전자 음악 기반의 독창적인 스타일을 구축, 영화, 드라마, 게임 사운드트랙 작업에도 참여했다. - 일본의 팝 록 밴드 - JUDY AND MARY
JUDY AND MARY는 YUKI, 엔타, 후지모토 야스지가 1992년 결성하여 "そばかす (주근깨)" 등의 히트곡으로 1990년대 후반 일본을 대표하는 인기 록 밴드로 자리매김했으며, 7장의 정규 앨범 발매, NHK 홍백가합전 2회 출연 후 2001년 해산하였다. - 일본의 팝 록 밴드 - Mr.Children
Mr.Children은 사쿠라이 카즈토시를 중심으로 결성된 4인조 록 밴드로서, 섬세한 감성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음악과 수많은 히트곡으로 일본 대중음악계의 정상급 밴드로 자리매김했으며, 사회 공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. - 여성 듀오 - 피베리
피베리는 헬로! 프로젝트의 "SATOYAMA movement" 프로젝트로 결성된 와다 아야카와 사야시 리호의 2인조 유닛으로, '두 사람이 하나가 되어 완성된다'는 의미를 가진 피베리라는 커피콩 이름에서 유래했으며, 싱글 발매 후 멤버 졸업으로 활동이 중단되었다. - 여성 듀오 - 아이코나 팝
아이코나 팝은 2009년 스톡홀름에서 결성된 스웨덴의 팝 듀오로, 드럼과 신시사이저를 가미한 팝 멜로디 기반 음악과 대표곡 "I Love It"의 성공, 그리고 다양한 활동으로 전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었다.
PUFFY (음악 그룹) - [음악 그룹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별칭 | PUFFY |
국적 | 일본 도쿄 |
장르 | 팝 록 파워 팝 팝 펑크 댄스 록 |
활동 기간 | 1995년 – 현재 |
레이블 | Epic Ki/oon Warner Music Japan Bar/None Tofu |
현재 멤버 | 오누키 아미 요시무라 유미 |
웹사이트 | PUFFY Official Website |
멤버 | |
구성원 | 오누키 아미 (보컬) 요시무라 유미 (보컬) |
기타 정보 | |
사무소 | 소니 뮤직 아티스츠 |
공동 작업자 | 오쿠다 타미오 앤디 스터머 |
유튜브 채널 정보 | |
채널 이름 | PUFFY |
채널 URL | @PUFFYofficialSMA |
활동 시작 | 2014년 |
장르 | 음악 |
구독자 수 | 약 5.31만 명 |
조회수 | 약 1484만 회 |
통계 업데이트 날짜 | 2024년 1월 24일 |
2. 내력
1996년 오쿠다 다미오가 프로듀스한 싱글 《아시아노 준조》로 데뷔하여,[6] 4연속 밀리언 히트를 기록하며 신인 아티스트 중 최고의 판매량을 기록했다. PUFFY라는 이름은 앤디 스타머가 지었다.[22]
일본뿐만 아니라 아시아 각국에서도 인기를 얻었으며, 2002년에는 북미에서도 CD를 발매하고 투어를 진행했다. 2004년에는 두 사람을 모델로 한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《하이 하이 퍼피 아미유미》가 미국에서 방영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세계 110개국 이상에서 방영되고 있다. 그러나 활동 거점은 일본이며, 매년 전국 투어를 진행하고 국내외를 불문하고 많은 이벤트나 페스티벌에 참가하는 등 활발한 라이브 활동을 하고 있다.
2. 1. 데뷔 전 활동 (1993년 ~ 1995년)
오오누키 아미는 고등학교 시절 밴드 활동 후 소니 SD 오디션에 합격하여 솔로 데뷔를 준비하고 있었다. 요시무라 유미는 소니 뮤직 아티스트의 탤런트 서치 오디션에 합격하여 상경, 보컬 트레이닝을 받았다.[22] 1994년, 두 사람은 소니 뮤직 사무실에서 만나 듀오 결성을 제안했고, 오쿠다 타미오의 프로듀싱으로 데뷔가 결정되었다.[5]오누키 아미는 고등학교 재학 중 소니 SD 오디션에 참가하여 합격, Hanoi Sex라는 밴드에서 활동했다. 밴드 해체 후에도 소니에 남아 솔로 데뷔를 준비하며 전문학교에서 보컬 레슨을 받았다.[4]
요시무라 유미는 1993년 여름 "잠깐 거기까지 오디션"을 통해 데뷔 기회를 잡았다.[22] 이 오디션은 노래 심사 없이 진행되었으며, 유미는 스트리트 패션 감각과 리더십으로 주목받았다.[22] 소니 측 질문에 가수를 희망한 유미는 상경하여 보컬 트레이닝을 받게 되었다.
1994년, 사무실에서 처음 만난 두 사람은 내성적인 성격으로 처음에는 어색했지만, 연예계 입문이라는 공통점과 솔로 데뷔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듀오 결성을 제안, 아미의 솔로 음원이 이미 녹음되었음에도 불구하고[24] 듀오 결성이 순조롭게 받아들여졌다.
2. 2. 데뷔 직후 (1996년 ~ 1997년)
1996년 오쿠다 다미오가 프로듀스한 싱글 《아시아노 준조》로 데뷔했다.[6] 이 싱글은 큰 유행을 일으켰으며, 유미는 인터뷰에서 "그 노래를 위해 만들어진 모든 것이 함께 이루어졌고 현실이 되었지만, 우리는 기대하지 않았습니다. 운이 좋았어요."라고 말했다.[6]같은 해 오쿠다 다미오의 사운드 프로듀싱 하에 데뷔, 4연속 밀리언 히트를 기록했으며, 신인 아티스트 중 최고의 판매량을 기록했다.
2. 3. 인기 확대 (1998년 ~ 2001년)
이전 출력에서는 주어진 섹션 제목("인기 확대 (1998년 ~ 2001년)")에 해당하는 내용을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다고 판단하여 내용을 작성하지 않았습니다. 그러나 주어진 요약 정보와 원본 소스를 다시 비교 검토한 결과, 1998년에서 2001년 사이의 인기 확대와 관련된 내용을 일부 찾을 수 있었습니다. 비록 원본 소스의 내용이 2000년 이후의 활동에 더 집중되어 있지만, 요약 정보에 언급된 아시아 캠페인 및 관련 활동에 대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.2000년, PUFFY는 미국 텍사스주에서 열린 록 페스티벌 "'''SXSW'''"(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)에 출연하여 현지 미국인들에게 호평을 받았다.[26] 이 시기 PUFFY는 아시아 캠페인을 진행하여, 대만에서 발매한 CD 전부가 골드 디스크를 수상하는 등 아시아 지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. 홍콩, 대만 등에서 콘서트를 개최하였고, 일러스트레이터 로드니 앨런 그린블랫의 캐릭터 상품도 인기를 끌었다.
2. 4. 북미 진출 (2002년 ~ 2005년)
2000년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열린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 페스티벌에서 Music Japan의 "일본의 올스타와 함께하는 저녁" 쇼케이스의 일환으로 미국에서 처음 공연했다.[7] SXSW 공연 직후, 션 "퍼피" 콤스의 변호사들은 밴드에게 이름 변경을 요구하는 중단 및 보류 서한을 보냈다. "퍼피 아미유미"라는 새 이름을 채택한 후, 그들은 ''엔터테인먼트 위클리''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.[8]유미: 전혀 신경 쓰지 않아요. 우리는 퍼프 대디가 미국에서 퍼피라는 사실을 존중합니다.
아미: 요점은 우리는 "퍼피"라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 모른다는 거예요. 6년 전에 누군가(앤디 스타머)가 우리에게 이름을 지어줬고, 우리는 정말 아무것도 몰라요.영어
2002년, ''Pa-Pa-Pa-Pa-Puffy''는 제작을 종료했고 퍼피는 미국 공연에 집중했다. 그들의 이전 일본 앨범 중 일부가 미국 시장에 출시되었고, 애니메이션 시리즈 ''틴 타이탄''과 ''SD 건담 포스''의 주제가를 녹음했다. 신디 로퍼의 히트곡 "Girls Just Wanna Have Fun"을 커버했으며, 쇼에서 "Hi Hi"와 "빨간 그네"[9]라는 곡을 공연했다.
2004년 11월 19일, 아미와 유미의 만화 캐릭터를 특징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''하이! 하이! 퍼피 아미유미''가 미국 카툰 네트워크에서 처음 방영되었다. 아미 역을 맡은 재니스 카와예가 일본계이지만, 두 사람 모두 미국 여배우가 목소리를 연기했다. 실제 퍼피 아미유미는 일본에서 비디오 녹화된 짧은 실사 세그먼트에 출연했다. 이 시리즈에는 당시 듀오의 대표곡 중 일부가 포함되었다.
유미는 LiveDaily와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.[14] 유미: 카툰 네트워크 쇼는 새로운 청중에게 음악을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했습니다. 카툰 네트워크 쇼가 시작된 후 투어를 했을 때, 정말 많은 어린 아이들이 우리 쇼에 왔습니다. 우리는 항상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음악을 들을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.영어
듀오는 2005년 메이시스 추수감사절 퍼레이드에 출연하여 공연했으며, 자체 ''하이! 하이! 퍼피 아미유미'' 플로트와 풍선으로 대표되었다.[15]
2. 5. 데뷔 10주년 이후 (2006년 ~ 2015년)
PUFFY영어는 2006년에 데뷔 10주년을 맞아 '비지트 재팬 캠페인'의 미국 관광 친선 대사로 임명되었다. 립톤 홍차 앰배서더로 임명되어 도쿄 스카 파라다이스 오케스트라와 콜라보레이션 밴드를 결성하기도 했다. 2008년에는 에이브릴 라빈의 도쿄 돔 공연에 게스트로 출연했다. 2009년에는 앨범 《Bring it!》을 프랑스에서 발매하고, 파리에서 열린 재팬 엑스포에 출연했다. 2011년에는 데뷔 15주년을 맞아 앨범 《Thank You!》를 발매하고 전국 투어를 진행했다.2. 6. 데뷔 20주년 (2016년 ~ 현재)
2016년 데뷔 20주년을 맞아 《제67회 NHK 홍백가합전》에 첫 출연하여 "PUFFY 20주년 홍백 스페셜"로 〈아시아의 순수〉와 〈해변에 얽힌 에세트라〉를 불렀다. 2018년 BS스카파에서 정규 프로그램 《PUFFY의 귀 지옥》이 방송 시작되었다. 2021년에는 25주년 기념 박스 세트 《PLAYLIST ~PUFFY 25th Anniversary~》를 발매했다.3. 구성원
두 사람은 모두 소니라는 거대한 조직 안에서 외로움을 느꼈고, 솔로 가수로서의 능력에 자신감을 갖지 못했다. 오누키 아미는 오쿠다 타미오의 지도로 솔로 CD를 녹음했고, 이후 요시무라 유미와 함께 소니에 듀오로 묶어달라고 요청했다.[5]
2011년에 발표한 Thank You!에서는 라이브 밴드 멤버로 전 곡을 연주하고 있다. 라이브는 거의 고정된 밴드로 진행하며, 텔레비전 출연이나 투어에서 멤버가 바뀌는 경우가 있지만, 리듬대는 데뷔 당시부터 거의 변하지 않는다.
포지션 | 이름 | 활동 기간 | 비고 |
---|---|---|---|
보컬 | 오누키 아미 (大貫亜美|오누키 아미일본어) | 1996년 ~ 현재 | |
보컬 | 요시무라 유미 (吉村由美|요시무라 유미일본어) | 1996년 ~ 현재 | |
드럼 | 후루타 타카시 | 1997년 ~ | ex.Dr.StrangeLove, 초기 반마스. 오쿠다 타미오 서포트. |
마츠카와 코지 | 1997년 | ||
나카지마 노부 | 2003년 ~ | 닝겐이스, PONI-CAMP, 도밍고스. 텔레비전 출연 시. | |
카와니시 코이치 | 2007년 ~ | 유니콘. | |
코바야시 마사유키 | 2000년 ~ | JUN SKY WALKER(S). 텔레비전 출연 시. | |
야마다 마사토 | 2008년 ~ | 스노클. 텔레비전 출연 시. | |
P스케 (히라오 유스케) | 2009년 | cembalo | |
야마구치 미요코 | 2010년 ~ | DETROITSEVEN, BimBamBoom | |
베이스 | 이노우에 토미오 | 1997년 ~ | |
키노시타 히로하루 | 1998년 ~ | ex.L⇔R, 2대 반마스 오니군소 | |
레이 | 2003년 ~ | PONI-CAMP. 텔레비전 출연 시. | |
KATARU | 2005년 ~ | 뉴로티카. 텔레비전 출연 시. | |
기타 | 야나기사와 후미오 | 1997년 ~ 2007년 | |
츠지 타케시 | 1997년 ~ 2006년 | ex.JUSTY-NASTY | |
후지이 켄지 | 2006년 | ex.MY LITTLE LOVER | |
고로 | 2006년 ~ | ex.롤리타 18호 | |
에나포우 | 2003년 ~ | PONI-CAMP, ex. 롤리타 18호. 텔레비전 출연 시. | |
시즈오 | 2004년 | ex. 뉴로티카, 게타 카르비, 시즈오 밴드 | |
나카 시게오 | 2007년 ~ | The Surf Coasters | |
이와세 케이고 | 2008년 | ex. 19 | |
키보드 | Gee2wo | 1998년 | ex.RC 서세션 |
후지모토 준이치 | 1998년 ~ | ||
사이토 유타 | 1997년 ~ | ||
이토 미키오 | 2006년 ~ | ||
스즈키 아키노리 | 2007년 ~ | 텔레비전 출연 시. | |
와타나베 슌스케 | 2006년 ~ | 부반마스 |
4. 음악 스타일
PUFFY (음악 그룹)는 프로듀서 오쿠다 타미오와 앤디 스터머의 영향을 받아 팝 록, J-Pop 스타일을 기반으로 한다. 두 멤버의 보컬은 미국의 보컬 자매 그룹 로체스와 비교되기도 한다.[18]
오쿠다 타미오는 PUFFY가 아이돌처럼 단기간에 소비되는 것을 원하지 않아 책임감 있는 자세로 지도했다. 두 사람은 그의 가르침에 감명을 받아 "센세 짱"이라고 부르며 따랐다. 오쿠다는 개별 보컬보다 두 사람의 목소리가 합쳐졌을 때 매력을 느꼈다고 한다.[40]
PUFFY는 여러 작곡가로부터 작품을 제공받고, 개별적으로 프로듀싱을 의뢰하는 경향이 있다. 1999년 앨범 『FEVER*FEVER』에서는 사사지 마사노리가, 2003년 앨범 『NICE.』 및 2004년 미니 앨범 『59』에서는 앤디 스터머가 프로듀싱을 맡았다. 특히 『NICE.』에서는 앤디 스터머가 전곡을 작곡했다.
『Splurge』 이후에는 시이나 링고, 사이토 카즈요시, 치바 유우스케 등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했다.
5. 한국과의 관계
PUFFY는 여러 차례 내한 공연을 통해 한국 팬들에게도 친숙한 그룹이다. 2005년에는 극장판 《포켓몬스터: 뮤와 파동의 용사 루카리오》의 엔딩 테마를 불렀다.[37] 2015년에는 기무라 타쿠야 등과 함께 토요타 코롤라 필더 하이브리드 CF에 출연했다.
6. 음반 목록
PUFFY의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.
- 아미유미 (AmiYumi) (1996년 7월 22일)
- 솔로솔로 (solosolo) (1997년)
- 제트 (Jet) (1998년 4월 1일)
- 피버*피버 (Fever*Fever) (1999년 6월 23일)
- 스파이크 (Spike) (2000년 10월 12일)
- 히트 퍼레이드 (The Hit Parade) (2002년 2월 20일, 커버 음반)
- 나이스 (Nice.) (2003년 1월 22일)
- 59 (2004년 3월 31일)
- Hi Hi Puffy AmiYumi (2005년 5월 11일, 미국 데뷔 음반)
- 스플러지 (Splurge) (2006년 6월 28일, 데뷔 10주년 기념 음반)
- 허니크리퍼 (honeycreeper) (2007년 9월 26일)
- 브링 잇! (Bring It!) (2009년 6월 17일)
- 땡큐 (Thank You) (2011년, 데뷔 15주년 기념 앨범)
- 더 퍼피 (The Puffy) (2021년, 데뷔 25주년 기념 앨범)
6. 1. 싱글
작곡・편곡: 오쿠다 타미오작곡・편곡: 오쿠다 타미오
편곡: 오쿠다 타미오
작곡・편곡: 앤디 스타머
작곡: 타무라 요리코
편곡: 사사지 마사노리
편곡: 사사지 마사노리
작곡・편곡: 앤디 스타머
편곡: 오쿠다 타미오
작곡: 이노우에 다이스케
편곡: 오쿠다 타미오
작곡・편곡: 앤디 스타머
편곡: 카메다 세이지
편곡・작곡: 앤더스 헬그렌, 데이비드 마이어
작곡・편곡: 오쿠다 타미오
작곡・편곡: 앤더스 헬그렌, 데이비드 마이어
작곡: 오쿠다 타미오
작곡: 데이비드 마이어, 피터 퀴빈트
작곡: 이시노 타쿠
작곡: 이시하라 리유
(통상반)
작곡: PandaBoY
편곡: 아사노 나오시